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지역과 계층의 교차: 소득 수준에 따른 지역 간 학업성취도 성장률 차이 분석

Unequal Trajectories: Regional and Socioeconomic Gaps in Student Achievement in South Korea

  • 18
커버이미지 없음

이 연구는 한국교육종단연구2013의 1차-5차년도 자료를 대상으로 위계적 선형모형을 사용하여 지역 규모와 소득 수준에 따른 학업성취도 격차를 분석하였다. 지역 규모에 따른 학업성취도 차이를 확인한 결과 읍·면 지역 소재의 학교에 재학하는 학생이 특별시 소재 학교에 재학하는 학생에 비하여 학업성취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중학교 1학년 학업성취도에 대한 분석 결과 영어와 수학 교과에서 읍·면 지역의 성취도가 특별시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았다. 학업성취도 성장률에 대한 분석에서는 읍·면 지역의 국어 학업성취도가 특별시에 비하여 낮은 성장률을 보였다. 나아가 지역 규모와 가구 소득의 상호작용 효과를 확인한 결과 학업성취도에 대한 가구 소득의 영향이 지역에 따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특별시에서는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학업성취도가 높았으나 읍·면 지역에서는 반대의 양상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지역과 계층이 교차하여 작용함으로써 교육 격차가 특정 집단에서 심화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nalyzed academic achievement gaps based on regional size and income level using a hierarchical linear model with data from the first to fifth waves of the 2013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The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attending schools in rural areas had lower academic achievement than those attending schools in metropolitan city. Specifically, the analysis of academic achievement in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revealed that achievement in English and mathematics was significantly lower in rural areas than in metropolitan city. In the analysis of academic achievement growth rates, the growth rate of Korean language achievement in rural areas was lower than that in metropolitan city. Furthermore, the analysis of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regional size and household income showed that the influence of household income on academic achievement varied depending on the region. In metropolitan city, higher income levels were associated with higher academic achievement, but the opposite pattern was observed in rural area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intersection of region and socioeconomic status can exacerbate educational disparities within specific group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