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에서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기능제한이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절대적 및 상대적 돌봄빈곤 실태를 분석하는 것이다. 절대적 돌봄빈곤율은 돌봄이 필요한 상황에도 공식적 및 비공식적 돌봄을 받지 못하는 비율이다. 상대적 돌봄빈곤율은 돌봄을 받고 있지만 돌봄량이 부족하다고 인식하는 비율이다. 이를 위해서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실시한 2017년 노인실태조사(n=2,608), 2020년 노인실태조사(n=1,233), 2023년 노인실태조사(n=1,873) 자료를 활용하였다. 돌봄빈곤율을 분석하기 위해서 SPSS 26.0 프로그램을 사용했다. 연구 결과, 절대적 돌봄빈곤 발생율은 2017년 28.6%에서 2020년 45.0%, 2023년 52.8%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상대적 돌봄빈곤 발생율은 2017년 14.3%에서 2020년 23.8%로 증가했다가 2023년 18.3%로 소폭 감소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국 노인의 돌봄빈곤을 완화하기 위해서 돌봄서비스 보장성과 적적성 확대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e study aims to analyze the prevalence of absolute and relative care poverty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with functional limitations in the Republic of Korea. Absolute care poverty is defined as the proportion of individuals who do not receive any formal or informal care despite needing assistance. Relative care poverty refers to the proportion of individuals who receive care but perceive the amount of care as insufficient. Data were drawn from the 2017 National Survey of Living Conditions and Welfare Needs of Korean Older Persons (n=2,608), the 2020 survey (n=1,233), and the 2023 survey (n=1,873),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The care poverty rates were analyzed using SPSS 26.0. The results show an increasing trend in absolute care poverty, rising from 28.6% in 2017 to 45.0% in 2020 and 52.8% in 2023. Relative care poverty increased from 14.3% in 2017 to 23.8% in 2020, then slightly decreased to 18.3% in 2023. The findings suggest that expanding the coverage and adequacy of care services is necessary to alleviate care poverty among older adults in Korea.
Ⅰ. 서론
Ⅱ.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References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