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문학으로서의 한국현대문학교육을 위한 제언 - 영어 사용 학습자 대상의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Re-envisioning Modern Korean Literature as World Literature - A Pedagogical Case Study of English-Speaking Learners-
- 충북대학교 교육개발연구소
- 한국교육논총(구 교육연구논총)
- 제46권 제2호
-
2025.08151 - 178 (28 pages)
-
DOI : 10.55152/KERJ.46.2.151
- 0
![[충북대학교] 한국교육논총 제46권 제2호_표지.png](http:///contents.kyobobook.co.kr/sra/upload/book_img/108/1081797.png)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한국현대문학교육을 단순히 한국어 학습의 보조 수단이 아닌 세계문학 교육의 핵심 영역으로 확장할 필요성을 제안한다. K-컬처의 전 세계적 확산과 더불어 한국현대문학은 K-pop과 K-드라마를 넘어서는 ‘K-콘텐츠’로서 새로운 위상을 구축할 가능성을 지니고 있으며, 대중문화가 형성한 국제적 관심은 심화된 문학교육을 실현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한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문학의 로컬리티만을 강조하는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국제적 ‘동시대성’과 젊은 세대가 공유하는 ‘공통감각’을 기반으로 한 교육 모델을 모색하였다. 영어 사용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Introduction to Modern Korean Literature >수업 사례 분석을 통해, 번역 텍스트와 원문 병행 읽기, 토론, 에세이, 필드 스터디가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와 문학적 해석 능력을 심화시키는 과정을 확인하였다. 특히 한강·최은영 등 여성 작가들의 서사는 보편성과 특수성을 동시에 드러내며 글로벌 학습자에게 깊은 공감을 불러일으켰다. 본 연구는 이러한 사례를 통해 한국현대문학이 번역, 젠더 서사, 동시대성을 매개로 세계문학 담론에서 주체적 목소리를 확보할 수 있음을 보여주며, 앞으로 한국문학의 세계적 확장과 교육적 가치 창출에 기여할 가능성을 제시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teaching of modern Korean literature to international students and proposed its expansion from a supplementary tool for Korean language acquisition to a central component of world literature education. With the global proliferation of K-Culture, modern Korean literature has the potential to establish a distinct position as “K-content” extending beyond K-pop and K-drama. The internatioanl appeal of popular culture provides the foundation for a more rigorous literary pedagogy. This study moves beyond approaches that emphasize locality in Korean literature by instead of developing an educational model grounded in global contemporaneity and the shared sensibilities of younger generations. An analysis of Introduction to Modern Korean Literature for English-speaking learners highlights how the parallel reading of translations and originals, combined with discussion, essay writing, and field studies, fosters students’ critical thinking and interpretive capacities. Particular attention is given to the works of female authors such as Han Kang and Choi Eun-young, whose narratives simultaneously articulate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eliciting strong resonance among global learners. These cases demonstrate that modern Korean literature can secure an active presence in the world literature discourse through the mediations of translation, gender narratives, and contemporaneity. Ultimately, the study suggests that Korean literature not only possesses the potential for global expansion but also contributes to the creation of new educational value within world literary education.
Ⅰ. 서론
Ⅱ. 세계문학으로서의 한국현대문학과 수업 현황
Ⅲ. 세계문학 으로서의 한국현대문학 수업의 실제
Ⅳ. 세계문학으로서의 한국현대문학 교육의 의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