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과학교육전공 재학생들의 진로갈등 현상을 마주하는 전임교원들의 담화 - 히스테리담화 및 분석가담화를 중심으로 -

Discourse of Full-Time Faculty Confronting Science Education Students’ Career Conflicts – Focusing on Hysteric and Analyst Discourses –

  • 3
[충북대학교] 한국교육논총 제46권 제2호_표지.png

본 연구는 사범대학 과학교육전공의 교과내용학 전임교원들이 재학생들의 진로갈등 가상 상황에서 나타내는 담화 형태를 Lacan의 정신분석학적 담화이론을 중심으로 탐색하여, Lacan의 담화이론이 진로교육 및 상담에 적용 가능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탐색적으로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범대학 과학교육전공 전임교원 8명을 대상으로 두 가지 가상 진로갈등 상황을 제시하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응답을 Lacan의 네 담화이론 중 히스테리 담화와 분석가 담화의 주요 요소를 중심으로 심층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과 교육학 모두에서 적성 불일치를 호소하며 진로에 갈등하는 가상의 학생 A 사례에 대해서는, 히스테리적 상담 태도와 분석가적 상담 태도가 혼재된 응답이 주로 확인되었다. 반면, 과학교육전공에 재학 중이면서 과학자의 진로를 희망하는 학생 B의 사례에서는 보다 정형화된 형태의 진로지도 방향이 강조되는 응답이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본 연구는 정신분석학과 진로교육(상담)학의 접점을 탐색하고, 진로갈등을 겪는 학생들이 자신의 욕망을 탐구하고 주체적으로 진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 교원들의 상담 태도를 재구성할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discourse patterns of full-time faculty in science education departments of colleges of education in response to hypothetical student career conflicts, using Lacan’s discourse theory as an analytic lens. This study aimed to explore whether Lacan’s framework offers insights applicable to career education and counseling. Eight faculty members were surveyed on two hypothetical scenarios, and their responses were analyzed with attention to the elements of the hysteric and analytic discourses. The results showed that, in the case of Student A, struggling with an aptitude mismatch between science and education, responses often combined hysteric features with analyst-like counseling attitudes. In contrast, Student B, who aspired to become a scientist while majoring in science education, received more structured and conventional career guidance.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potential relevance of psychoanalytic perspectives in career counseling, suggesting that faculty counseling attitudes should be reframed to better support students in exploring their desires and making autonomous career choice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