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고종 대(1863~1894) 문과 급제자의 과거 급제 양상 분석

An Analysis of the Examination Success Patterns of Mungwa Passers during the Reign of King Gojong (1863–1894)

  • 3
[충북대학교] 한국교육논총 제46권 제2호_표지.png

본 연구는 고종 대 문과 급제자의 구체적인 급제 양상을 파악하고자, 이들의 성균관 과시 우등 이력과 문과 진출 경로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은 고종 대 문과 급제자 1,765명(생원‧진사 310명, 유학 1,455명)이며, 고종 대 성균관 교육 관련 절목이 반포된 시기를 기준으로 세 시기로 구분하여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고종 대 성균관 과시에서는 시기가 흐를수록 지역 간·직역 간 우등 양상의 차이가 줄어드는 경향이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지방 유생의 우등 비율이 점차로 증가하면서 한성과 지방 사이에 우등 비율의 격차가 줄어들었다. 직역별로는 생원‧진사와 유학 모두 제술 과시에서 높은 우등 비율을 보였으며, 강경 과시 우등은 상대적으로 적은 비중에 그쳤다. 고종 대 성균관 과시에서는 비정례 과시의 시행 확대와 함께 직부전시의 은사가 크게 확대되었는데, 이러한 변화는 성균관 과시가 문과 진출의 주요 통로로서 그 위상이 크게 강화되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분석은 고종 대 성균관 교육정책의 변화가 실제 과시 운영과 문과 진출 경로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며, 고종 대의 성균관 과시와 문과 시험 체제의 연계를 드러내는 데에도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tinction records in the Sungkyunkwan gwasi (academic examinations) and the pathways of successful candidates to the mungwa (civil service examinations) during King Gojong’s reign. The study covers 1,765 mungwa passers (310 jinsa or saengwon and 1,455 yuhak) and divides the analysis into three periods according to the promulgation of educational regulations in Sungkyunkwan under King Gojong. The findings show that regional and status-based disparities in distinction records gradually diminished. Regionally, the proportion of students from the provinces increased, narrowing the gap with Hansung. Both jinsa/saengwon and yuhak showed relatively high success rates in jesul (composition) gwasi, whereas success rates in kanggyeong (Confucian classics) gwasi remained relatively low. Furthermore, the privileges of direct admission to the mungwa through jikbujeonsi were significantly expanded, particularly in relation to jesul gwasi. These changes demonstrate that the Sungkyunkwan gwasi became a major pathway for the mungwa, strengthening its status as an institutional gateway.

Ⅰ. 서론

Ⅱ. 고종 대 문과 급제자 현황

Ⅲ. 문과 급제 양상

Ⅳ. 결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