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초등학교 현장의 교육활동(교권) 보호 실태에 관한 교사 인식 조사 연구

A study on Teacher Perceptions of the Protection of Educational Activity(Teacher Authority) in Elementary School

  • 7
[충북대학교] 한국교육논총 제46권 제2호_표지.png

이 연구는 초등학교 현장의 교육활동(교권) 보호 실태에 관한 교사 인식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두 차례에 걸쳐 설문 조사를 통해 상황을 분석하고 현장 개선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 1차 설문조사에서는 다수의 교사들이 침해 사례를 경험했으며 이를 예방하기 위한 실질적 대책의 필요성을 강하게 느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차 설문조사는 교육활동(교권) 보호 정책이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체감되지 않는다는 의견과 체계적인 지원책 마련을 요구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현장 개선 방안에 관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활동(교권) 보호에 관한 명확한 정의와 범위, 내용이 제시되어야 한다. 둘째, 아동학대법의 면책권이 보장되어야 한다. 셋째, 학생 지도에 대한 징계권이 보장되어야 한다. 넷째, 교권보호 5법 개정 이후 현장 관리자에게 과도한 업무가 집중되어 이에 관한 검토가 시급하다. 이는 교육활동(교권) 보호는 교사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학습 환경 개선과 교육의 질 향상을 통해 궁극적으로 학생 교육을 향상시키는 일이라는 것을 다시한번 되새겨보아야 할 때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poses improvement methods by conducting two surveys to understand teachers' perceptions of the current status of protecting educational activities (teaching rights) in elementary schools. Findings from the first survey revealed that a significant number of teachers experienced infringement of their authority and emphasized the urgent need for practical and preventive measures. The second survey emphasized the disconnect between existing protective policies and their implementation at the school level, with many teachers calling for more structured and effective support systems. Based on these findings, several key recommendations are proposed. Firs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lear definition and scope for the protection of educational activities. Second, teachers should be granted legal immunity under child protection laws when they exercise legitimate disciplinary authority. Third, teachers’ legal right to discipline students must be protected. Fourth, recent amendments to the “Five Laws on Teacher Rights Protection” have inadvertently increased the administrative burden on school staff, necessitating urgent policy reassessment. Ultimately, fostering stronger collaboration among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along with enhanc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s vital to achieving holistic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Ⅰ. 서론

Ⅱ. 교사의 교육활동(교권) 침해

Ⅲ. 연구방법

(0)

(0)

로딩중